2025/07/16 3

민생회복 소비쿠폰, 물가만 올린다? 진짜일까?

최근 수박 한 통 가격이 3만 원을 넘어섰다는 뉴스가 화제가 됐습니다.관련 기사에는"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앞두고중간 유통업자들이 미리 가격을 올린 것 아니냐"는 의혹의 댓글도 쏟아지고 있는데요.오는 **21일부터 전 국민에게 지급되는최대 55만 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두고경제회복의 마중물이 될 거란 기대와물가를 자극할 거란 우려가 엇갈리고 있습니다.그렇다면 정말 소비쿠폰이 물가를 올릴까요?전문가들과 사례를 통해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 쿠폰플레이션? “수요 늘면 가격도 오른다”민생회복 소비쿠폰은총 13조 2천억 원 규모로1인당 15만 원에서 최대 55만 원까지 지급됩니다.이 때문에"국민들이 쿠폰을 받고 소비를 늘리면,물건이 잘 팔리니까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다"는 주장도 나옵니다.실..

news 2025.07.16

주식 용어: 동시호가(Concurrent Bidding) 완벽 이해하기

주식을 처음 시작하면 헷갈리기 쉬운 용어 중 하나가 바로 동시호가입니다.특히 오전 9시 장이 열리기 전과 오후 3시 30분 이후, 갑자기 주식 가격이 ‘튀는’ 모습을 보고 놀란 적 있으신가요?바로 이 시간대에 동시호가가 적용되기 때문입니다.오늘은 동시호가가 무엇인지, 왜 이런 제도가 있는지, 투자자로서 어떻게 활용하면 좋은지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동시호가란?동시호가란 특정 시간(주로 개장 전, 장 마감 직전)에 접수된 매수·매도 주문을 한꺼번에 모아단일 가격으로 일괄 체결시키는 매매 방식입니다.동시호가는 일반적인 정규시간 거래와 달리 시간 우선 원칙을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해당 시간대에 들어온 모든 주문이 동시에 접수된 것으로 간주되어 가격 우선, 수량 우선 원칙만 적용됩니다.동시호가의 주요 특징..

info 2025.07.16

주식용어 - 스프레드 (Spread)

주식을 하다 보면 흔히 듣게 되는 용어 중 하나가 ‘스프레드(Spread)’ 입니다.스프레드는 단순히 가격 차이를 뜻하는 말 같지만, 사실 투자자에게 중요한 거래 비용과 직결되는 개념입니다. 오늘은 스프레드에 대해 조금 더 깊이 알아보고, 투자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도 살펴보겠습니다.스프레드란 무엇인가?스프레드는 매수 호가(Bid Price) 와 매도 호가(Ask Price) 의 차이를 의미합니다.즉, 누군가 주식을 사고 싶어하는 가격과 팔고 싶어하는 가격 사이의 간격을 말하죠.매수 호가 (Bid Price):투자자가 특정 주식을 사고자 하는 최고 가격매도 호가 (Ask Price):투자자가 특정 주식을 팔고자 하는 최저 가격이 둘의 차이가 곧 스프레드입니다.스프레드는 어떻게 계산할까?계산식은 아주 ..

info 2025.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