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

주식용어 - 스프레드 (Spread)

lollollollol 2025. 7. 16. 09:19

주식을 하다 보면 흔히 듣게 되는 용어 중 하나가 ‘스프레드(Spread)’ 입니다.
스프레드는 단순히 가격 차이를 뜻하는 말 같지만, 사실 투자자에게 중요한 거래 비용과 직결되는 개념입니다. 오늘은 스프레드에 대해 조금 더 깊이 알아보고, 투자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도 살펴보겠습니다.


스프레드란 무엇인가?

스프레드는 매수 호가(Bid Price)매도 호가(Ask Price) 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즉, 누군가 주식을 사고 싶어하는 가격과 팔고 싶어하는 가격 사이의 간격을 말하죠.

  • 매수 호가 (Bid Price):
    투자자가 특정 주식을 사고자 하는 최고 가격
  • 매도 호가 (Ask Price):
    투자자가 특정 주식을 팔고자 하는 최저 가격

이 둘의 차이가 곧 스프레드입니다.


스프레드는 어떻게 계산할까?

계산식은 아주 단순합니다.

복사편집
스프레드 = 매도 호가 - 매수 호가

예를 들어,

  • 어떤 주식의 매수 호가가 10,000원, 매도 호가가 10,050원이라면
  • 스프레드는 50원이 됩니다.

스프레드가 투자에 중요한 이유

1️⃣ 거래 비용

스프레드는 사실상 보이지 않는 수수료입니다.
스프레드가 크다는 것은 같은 주식을 사고팔 때 더 큰 가격차를 감수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즉, 스프레드가 클수록 거래 비용이 높아지고, 수익을 내기 위해 더 큰 가격 상승이 필요합니다.

2️⃣ 시장 유동성

스프레드는 시장 유동성을 가늠하는 지표로도 활용됩니다.

  • 유동성이 높은 종목:
    사고팔려는 사람이 많아 호가가 촘촘히 형성 → 스프레드가 좁음.
  • 유동성이 낮은 종목:
    사고팔려는 사람이 적어 호가가 듬성듬성 → 스프레드가 넓음.

보통 코스피 대형주(삼성전자, 현대차 등)는 스프레드가 아주 좁고, 코스닥 소형주나 거래가 적은 종목은 스프레드가 넓은 편입니다.


투자 전략에 활용하기

스프레드는 단순한 용어를 넘어, 실제 투자에서 전략적으로 활용됩니다.

  • 단타(데이 트레이딩) 투자자:
    스프레드가 좁은 종목을 주로 선택해 불필요한 거래 비용을 줄임.
  • 스프레드 트레이딩:
    선물 시장에서 만기나 기초자산이 다른 두 계약의 가격 차이(스프레드)를 이용해 수익을 노리는 방식.
  • 금리 스프레드:
    장단기 금리 차이를 보고 경기 사이클을 예측하기도 합니다.
    (예: 장단기 금리 역전 → 경기 침체 신호로 해석)

다양한 스프레드 용어도 알아두자

종류의미
매매 스프레드 (Bid-Ask Spread)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의 차이, 주식/외환 시장에서 가장 흔함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 국채 등 장기 금리 - 단기 금리, 경기 선행 지표로도 활용
선물 스프레드 만기일·기초자산 다른 선물 간 가격 차이를 활용한 거래
외환 스프레드 환율 시장에서 통화 매수·매도 호가 차이
 

💡 마무리 Tip

  • 스프레드는 항상 거래 비용의 최소 단위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 단기 매매를 한다면 스프레드가 좁은 종목 위주로,
    장기 투자라면 스프레드보다 기업의 펀더멘털(실적, 재무구조)을 더 중점적으로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