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 ‘러브버그’ 출몰… 장마철 불청객, 어떻게 대처할까?
장마가 시작되면서 최근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곳곳에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러브버그는 병을 옮기지 않는 익충이지만, 도심 주택가에서 대량으로 출몰해 시민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여름철 불청객으로 꼽힙니다.
지난 25일 SNS 플랫폼 엑스(X) 에는 수도권 아파트 외벽에 빽빽하게 붙은 러브버그 사진이나 지하철과 길거리에서 검은 가루처럼 날아다니는 모습의 게시물이 잇따라 올라왔습니다.
러브버그는 6월 중순부터 7월 초까지 1년에 한 차례 발생하는데, 비가 내리고 고온다습한 환경을 좋아합니다.
토양 속 유충 상태로 있다가 장마철 수분이 공급되며 깨어나는 것이죠. 성충의 수명은 수컷 3~5일, 암컷 약 7일로 매우 짧아, 이번 주와 다음 주를 지나면서 점차 사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러브버그는 몸에 잘 달라붙고 대량 발생해 혐오감을 주지만, 실제로는 화분 매개자 역할을 하는 익충입니다.
유충은 토양 유기물을 분해해 토양을 비옥하게 하고, 사람을 물거나 병을 옮기지 않습니다.
이런 특성 때문에 각 지자체에서는 약품 방역보다는 친환경 방제 방법을 택하고 있습니다.
- 서울시는 이달 말부터 은평구 백련산 일대에 광원·유인제 포집기를 운영할 예정입니다.
- 성동구 뚝도시장에는 청색광을 제거한 조명등을 설치했으며,
- 영동대교 한강 수면 위에는 부유식 트랩을 운영 중입니다.
일상에서 러브버그 대처법
러브버그는 밝은색에 끌리는 특성이 있으므로 야외 활동 시 흰색, 노란색 등 밝은 색상의 옷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방충망과 창틀 틈새를 꼼꼼하게 점검하고,
- 유리창 등에 붙은 러브버그는 날개가 약하기 때문에 분무기로 물을 뿌려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러브버그의 번식 시기가 길지 않으니, 올여름 장마철만 잘 버티면 자연스럽게 사라질 전망입니다.
도심 속 작은 자연 생명체와 불필요한 마찰을 줄이기 위한 친환경적 대처가 필요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