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서 백일해 환자 급증… 올해만 벌써 사상 최다, 국내도 예외 아냐
최근 일본에서 백일해가 빠르게 확산하며 감염자 수가 사상 최다를 기록했습니다. 국내에서도 지난해 백일해 환자가 전년 대비 160배 이상 폭증해 경각심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일본, 반년 만에 작년보다 8배… 사상 최다 기록 경신
2일 일본 요미우리신문 등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일본 질병당국인 **국립건강위기관리연구기구(JIHS)**는 지난달 16일부터 22일까지 단 1주일 사이에 백일해 환자가 3211명 발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현재 방식으로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8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입니다.
올해 들어 일본에서 보고된 누적 백일해 환자는 이미 3만 5810명에 달해 지난해 연간 환자 수의 8배를 훌쩍 넘어섰습니다. 이전 사상 최다 기록이었던 2019년(1만 6845명)의 두 배 이상을 벌써 경신했죠.
백일해란 어떤 병일까? 주요 증상과 위험성
백일해는 보르데텔라 백일해균에 의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호흡기 감염병으로, 평균 7~10일의 잠복기를 거친 뒤
- 콧물, 눈물, 가벼운 기침 같은 초기 상기도 감염 증상이 1~2주 정도 나타납니다.
- 이후 4주 이상 ‘흡’하는 소리가 동반되는 발작성 기침이 심하게 이어지며, 이때 구토, 가래, 청색증, 비출혈 등도 동반됩니다.
특히 1세 미만의 영아에게 치명적일 수 있으며, 중이염·폐렴·무호흡 같은 2차 감염도 흔히 발생합니다.
국내도 안전지대 아니다… 164배 폭증
국내에서도 백일해는 증가세가 뚜렷합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해 백일해 환자는 4만 8048명으로, 2023년(292명)에 비해 무려 164.5배 폭증했습니다.
더욱이 지난해 11월에는 국내에서 통계가 작성된 이후 처음으로 백일해에 걸린 영아가 사망하기도 했습니다.
예방과 초기 치료가 중요… 백신 접종 필수
백일해는 발병 초기 항생제 치료를 하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환자는 최소 5일에서 최대 3주 이상 격리가 필요하며, 침 등이 묻은 물품은 반드시 소독해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예방법은 백신 접종입니다.
- 영유아 및 어린이는 DTaP 백신을 정해진 일정에 맞춰 접종해야 하고,
- 40세 이상 백일해 백신 접종 이력이 없는 성인은 Tdap 1회, Td 2회를 접종해 예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