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할 때 “이 기업이 저평가됐나?”, “수익성은 괜찮나?” 궁금하신 적 많죠?
오늘은 기업의 가치를 판단할 때 많이 보는 PBR, PER, PSR, PCR, ROE를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
📌 PBR (주가순자산비율)
- 뜻: Price-to-Book Ratio
- 계산: 시가총액 ÷ 순자산
- 쉽게 말해:
회사가 가진 순자산(자산-부채)에 비해 주가가 몇 배로 거래되는지 보는 지표. - PBR이 1보다 작으면?
회사가 가진 순자산 가치가 시가총액보다 커서, 이론상 회사를 통째로 사서 자산만 팔아도 이득.
→ 그래서 흔히 PBR < 1이면 저평가로 보기도 함. - 주의:
업종별 특성 따라 기준이 달라 금융업처럼 자기자본비율이 낮은 업종은 PBR도 낮게 형성되니 동종 업계 평균과 비교하세요.
📌 PER (주가수익비율)
- 뜻: Price Earning Ratio
- 계산: 주가 ÷ 주당순이익(EPS)
- 쉽게 말해:
지금 주가(또는 시가총액)으로 회사를 사면 몇 년 후 본전을 찾을지 알려주는 지표. - 예:
주가가 10,000원이고, 주당순이익이 1,000원이면 PER은 10 → 본전 찾는데 10년. - PER이 높으면?
시장이 미래 성장성을 높게 평가(=고평가), 낮으면 저평가. - 주의:
일회성 이익/손실에 따라 순이익이 크게 변동될 수 있으니 PER만 맹신하면 위험.
📌 PSR (주가매출비율)
- 뜻: Price-to-Sales Ratio
- 계산: 시가총액 ÷ 연간 매출액 (또는 주가 ÷ 주당 매출액)
- 쉽게 말해:
회사가 현재 올리는 매출 대비 주가가 몇 배인가 보는 지표. - PSR이 높으면?
매출액에 비해 주가(시가총액)가 높아 시장 기대가 큼. - PSR이 낮으면?
매출은 크지만 시장의 평가를 충분히 받지 못했다는 의미. - 참고:
PER과 비슷하지만 순이익 대신 매출을 기준으로 본다는 차이점.
📌 PCR (주가현금흐름비율)
- 뜻: Price-to-Cash Flow Ratio
- 계산: 주가 ÷ 주당현금흐름(CPS)
- 쉽게 말해:
주가가 기업의 영업현금흐름에 비해 얼마나 높은지 보는 지표. - 현금흐름이란?
순이익에 감가상각비를 더하는 등, 실제로 기업이 쓸 수 있는 현금. - PCR이 낮으면?
회사가 벌어들이는 현금 대비 주가가 낮아 저평가. - 특히 미국 투자자들은 PCR을 중요한 지표로 많이 씁니다.
📌 ROE (자기자본이익률)
- 뜻: Return on Equity
- 계산: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 쉽게 말해:
주주가 투자한 자본을 얼마나 잘 불리고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 - ROE 10%라면?
10억 투자해서 1억 벌어들인 것. - ROE가 높으면?
자기자본을 효율적으로 운영해 수익을 잘 내는 기업. - 주의:
ROE는 부채를 많이 써도 높게 나올 수 있어 재무구조를 함께 살펴야 합니다.
💡 한눈에 정리
지표무엇을 기준으로 보나?해석
PBR | 자산 | PBR < 1 저평가 가능성 |
PER | 순이익 | PER 낮으면 저평가, 높으면 성장 기대 |
PSR | 매출 | 매출 대비 시가총액, 매출 성장성 주목 |
PCR | 현금흐름 | 영업 현금 대비 주가 수준 |
ROE | 자기자본 대비 수익 | ROE 높으면 자본 효율적 사용 |
✅ 마무리: 지표는 참고, 맹신은 금물!
이 지표들은 기업을 평가할 때 굉장히 유용합니다.
하지만 어느 하나만 보고 투자하면 큰코다칠 수 있어요.
- 업종 평균과 비교하기
- 시장의 흐름과 함께 보기
- 일회성 이벤트(부동산 매각, 소송비용 등) 고려하기
꼭 여러 각도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하세요.
장기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업인지도 함께 고민하면 좋습니다.